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상관계이론으로 보는 사람의 심리

by 윤이맘08 2024. 1. 24.

1939년 프로이트 사망 후 지금까지 반세기 이상 정신분석학계에서는 다양한 정신분석적 관점과 이론들이 제시되어 왔습니다. 이에 힘입어 고전적 정신분석을 구성하는 이론적 전제와 구성개념뿐만 아니라 치료기법들이 재개념화 되거나 수정되었고, 고전적 정신분석의 전통을 고수하는 관점뿐만 아니라 자아심리학, 대상관계이론, 자기 심리학, 발달적 관점 등의 다양한 이론과 치료 방법으로 구성된 현대 정신분석 이론과 임상 실제로 발전되기에 이르렀습니다(Mitchell & Black, 1995). 특히 대상관계이론은 자아심리학과 함께 고전적 정신분석이론을 보완하는 이론으로 인정받고 있고, 이 이론의 관계 중심 접근법과 주요 개념들은 현대 정신 분석적 심리치료 실제에 널리 적용되고 있습니다(Hamilton, 1922). 대상관계치료는 원래 경계선 성격장애와 같이 전통적 정신분석에서 효과적으로 다루지 못한 심각한 정신장애를 제대로 이해하고 치료하는 데 적합한 이론으로 발전되었습니다(Hamilton, 1988). 그러나 근래 덜 심각한 정신장애의 치료에도 적용되고, 개인치료뿐만 아니라 집단치료, 가족치료, 예술치료, 놀이치료 등 그 적용의 범위를 점차 넓혀가고 있습니다(김진숙, 2001). 최근에는 대상관계이론을 단기심리치료에 적용시키는 모델이 개발되어 소개되었습니다(Stadter, 1996).

 

대상관계이론의 개관

 

대상관계이론은 복잡하게 보이지만, 치료자에게 많은 유용한 수단과 개념을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대상관계이론가들은 사람들의 초기 아동기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과거를 다루고, 내담자와 치료자의 관계 발달을 통해 현재를 다룹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에서 무엇이 발생하는지를 관찰하는 것은 치료자가 내담자의 과거 관계에서 무엇을 겪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반면 과거에 대한 이해는 현재의 상호작용을 조명할 수 있게 합니다.

대상관계이론의 핵심 개념은 발달과 개별화 사람의 초기 관계, 특히 아동이 어머니 또는 1차 양육자와 가졌던 관계의 본질에 의존한다는 것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유아는 대상에 애착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습니다. 애착은 유아가 타인으로서가 아니라 내사를 통해 형성하는 내부 정신구조로 정의됩니다. 표상은 감정과 에너지의 투사를 포함하는 실제적이고 환상적인 경험 모두에 기초합니다. 어머니는 보통 첫 번째 내부 대상입니다. 그러나 다른 것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발전됩니다.

유아가 내적 정신구조를 형성할 때, 참을 수 없는 감정들이 불가피하게 발생합니다. 엄마를 향한 분노는 이런 감정들 중 하나입니다.. 이런 감정들을 경험하는 것은 아동의 정서적 만족과 안전을 위태롭게 하기 때문에 아동은 수용할 수 없는 감정들을 분리하고 억압합니다. 이런 것들은 자기의 분열된 부분이 자기가 동일시할 수 있는 다른 사람을 향해 투사되는 투사적 동일시를 통해 다루어집니다.

아동기 동안 지속되는 일관되고 양육적인 환경에서 건강한 유아 발달에서는 유아는 생후 8개월쯤에 양육자로부터 개별화 되고 분리되기 시작합니다. 이때 유아는 수용할 수 없는 감정들을 다룰 수 있게 됩니다. 유아는 자기와 양육자 둘 다 각각 긍정적, 부정적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개념을 수용할 수 있게 됩니다. 대상관계이론은 어머니(또는 1차 양육자)와 아동의 초기 경험을 차후에 발생하는 관계 양식의 모형이라고 봅니다. 이 이론가들은 인간의 삶을 결정짓는 중요한 사건들이 5세 혹은 6세가 아니라 생후 5개월 혹은 6개월에 발생한다고 봅니다.

 

 

대상관계이론의 인간관

 

전통적인 정신분석학적 갈등이론에서 증세는 억압된 충동의 욕구를 나타내는 무의식적 갈등과 그에 따른 불안에 대처하고자 노력하는 시도라고 봅니다. 이러한 갈등은 구조적으로 이드(id)와 에고(ego) 사이에 존재합니다. 즉 본능적인 충동은 반대하고 있는 자아의 억제에 대항하여 투쟁하고 있습니다. 대상관계 이론가들은 이러한 기본적인 형식이 타당하다고 동의하고, 단지 행동만이 아니라 정신구조도 타인과의 초기 경험에 기인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신병리학은 좋지 않는 초기 대상관계의 결과에 대한 반영으로 봅니다.

정신분석학자들이 그들이 강조점을 본능에서 대상관계로 옮김에 따라 유아적 의존심과 불완전한 자아 발달은 외디푸스 콤플렉스와 억압된 본능과 관계된 대상과의 문제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초기 아동기에서 시작되는 대상관계로부터 공포는 심리적 문제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참고문헌-

 

김영희, 심희옥, 심미경(2009). 아동상담. 창지사

김창대(2002), 대상관계이론의 핵심개념, 서울대학교

박주영(2004), 환상 안에 있는 고딕 어머니 : 클라인의 대상관계 이론에 관한 연구, 인문학과논집

송정애(2006), 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윤순임 외(1995), 현대 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최규련(2008), 가족 상담 및 치료, 공동체

최기남(2004). 부부갈등 치료를 위한 대상관계 활용 연구. 호남신학대학교

최영민(2010).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쉽게 쓴 정신분석이론. 학지사

최영민(2011), 쉽게 쓴 자기심리학, 학지사

Gomez, Lavinia(2008). 대상관계이론 입문. 학지사

Greenberg, Jay R., Mitchell, Stephen R(1999).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이론. 한국심리치료연구소

Julia Segal(2009), 멜라니 클라인, 학지사

Lavinia Gomez(2008), 대상관계이론 입문, 학지사

Linda Seligman(2011),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론, 시그마프레스

N. Gregory Hamilton(2007). 대상관계 이론과 실제 : 자기와 타자. 학지사

Sheldon Cashdan(2005). 대상관계치료. 학지사

Summers, Frank L(2004). 대상관계 이론과 정신병리학. 한국심리치료연구소